결혼식에 초대받았을 때, 많은 분들이 ‘축의금은 얼마나 해야 할까?’라는 고민에 빠지곤 합니다. 축의금은 단순한 금전적 가치를 넘어 마음을 표현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더욱 신중해집니다. 친밀도 및 관계에 따라 5만원, 10만원, 15만원, 20만원, 30만원을 해야할 때가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런 기준에 대해서 딱 정해드리겠습니다.
🔻 아래에서는 직장 동료와 친구 등 다양한 관계별로 적절한 축의금 기준 금액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📌보험 만기 80세 vs 100세 만기 어떤게 유리한가?
축의금 기준 표 정리
관계 | 추천 축의금 | 상황 및 고려 사항 |
---|---|---|
얼굴만 아는 직장 동료 | 3만 원 – 5만 원 | 다른 부서의 사람이나 거의 대화가 없는 경우. 직장 내 분위기에 따라 결정. |
종종 인사하는 직장 동료 | 3만 원 – 5만 원 | 엘리베이터에서 만나거나 휴게실에서 가벼운 인사를 나누는 정도. |
친분이 있는 직장 동료 | 5만 원 이상 (결혼식 참석 시 10만 원) | 같은 팀이나 부서에서 일하며 자주 얼굴을 마주치는 경우. |
친한 직장 동료 | 10만 원 – 20만 원 | 사적으로도 만나며 친분이 두터운 경우. 친분의 깊이에 따라 변동 가능. |
얼굴만 아는 친구 | 3만 원 | 오랜 시간 연락이 없거나 가끔 만나는 지인 정도의 친구. |
종종 인사하는 친구 | 5만 원 | 명절이나 생일 등에 가끔 안부를 주고받는 친구. |
친한 친구 | 최소 10만 원 (결혼식 참석 시 20만 원) | 자주 만나며 서로의 삶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친구. |
평생 친구 | 20만 원 – 30만 원 | 매우 가까운 사이로 평생을 함께 할 것 같은 친구. |
직장 동료 축의금 기준
직장 동료들 사이에도 친밀도에 따라 축의금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참고로 아래 링크는 인크루트에서 실시한 축의금 설문 결과도 함께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.
얼굴만 아는 사이
✅ 상황: 다른 부서의 사람이나 거의 대화가 없는 경우
✅ 추천 축의금: 3만 원에서 5만 원
✅ 고려 사항: 직장 내 분위기와 관계의 정도에 따라 결정합니다. 예를 들어, 다른 부서지만 종종 프로젝트로 마주칠 경우 5만 원 정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.
종종 인사하며 안부를 묻는 사이
✅ 상황: 엘리베이터에서 만나거나 휴게실에서 가벼운 인사를 나누는 정도
✅ 추천 축의금: 3만 원부터 5만 원
✅ 고려 사항: 결혼식에 참석하지 않더라도 정중하게 축의금을 전달하는 것이 좋습니다. 가끔 대화를 나누는 정도라면 3만 원 또는 자주 마주친다면 5만 원이 적절할 수 있습니다.
친분이 있는 사이
✅ 상황: 같은 팀이나 부서에서 일하며 자주 얼굴을 마주치는 경우
✅ 추천 축의금: 5만 원 이상, 결혼식 참석 시 10만 원
✅ 고려 사항: 친분이 있는 만큼 마음을 좀 더 표현하는 금액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. 결혼식에 참석한다면 식비를 고려하여 10만 원 정도가 적절하며 참석하지 않는다면 5만 원에서 7만 원 사이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.
친한 사이
✅ 상황: 사적으로도 만나며 서로의 개인적인 일에도 관심을 가지는 친한 동료
✅ 추천 축의금: 10만 원에서 20만 원
✅ 고려 사항: 친분의 깊이에 따라 변동이 가능합니다. 예를 들어, 서로의 가족 사정까지 잘 알고 있다면 20만 원 이상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. 반면, 회식이나 간단한 모임 정도의 관계라면 10만 원에서 15만 원 사이가 적절할 수 있습니다.
🔻 아래 직장 동료 축의금 논쟁에 관해 재미있게 설명하는 영상도 있으니 함께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.
친구 사이 축의금 기준
얼굴만 아는 사이
✅ 상황: 오랜 시간 연락이 없거나 가끔 만나는 지인 정도의 친구
✅ 추천 축의금: 3만 원
✅ 고려 사항: 연락이 거의 없는 경우, 축의금을 주지 않고 축하 메시지만 보내는 것도 좋습니다. 그러나 개인적인 관계에 따라 작은 금액의 축의금을 전달하고 싶다면 3만 원을 추천합니다.
종종 인사하며 안부를 묻는 사이
✅ 상황: 명절이나 생일 등에 가끔 안부를 주고받는 친구
✅ 추천 축의금: 5만 원
✅ 고려 사항: 이런 경우, 최소한의 예의를 갖춘 5만 원이 적절합니다. 비록 자주 만나지는 않지만 기본적인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적당한 금액의 축의금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.
친한 친구
✅ 상황: 자주 만나며, 서로의 삶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친구
✅ 추천 축의금: 최소 10만 원 이상, 결혼식 참석 시 20만 원
✅ 고려 사항: 친한 친구의 결혼식인 만큼 마음을 담아 10만 원 이상의 축의금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. 특히 결혼식에 참석하는 경우에는 20만 원 정도가 적절할 수 있으며, 친구와의 관계의 깊이에 따라 금액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.
평생 친구
✅ 상황: 매우 가까운 사이로 평생을 함께 할 것 같은 친구
✅ 추천 축의금: 20만 원에서 30만 원
✅ 고려 사항: 이런 친구에게는 20만 원에서 30만 원 사이의 축의금이 적절합니다. 평생 친구는 단순한 친구를 넘어 가족과 같은 존재이므로 더 큰 금액의 축의금을 고려하는 것이 적합합니다. 하지만 축의금은 결국 개인의 재정 상황과 친구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.
결혼식 못갈때 축의금
결혼식에 참석 못할 때 축의금은 얼마나 내야할까요? 이 역시 친밀도에 다르겠지만 기본적으로 5만 원을 합니다. 여기에서 위에 말씀드렸던 것처럼 친하지 않고 얼굴만 안다면 3만 원을 하며 친한 사이라면 10만 원 이상을 냅니다.
결혼식 축의금 조사 결과 확인
KB국민카드가 400여 명의 고객 패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결혼식 축의금은 아래와 같습니다.
일반적인 축의금 액수
✅ 알고 지내는 사이: 평균 8만 원
✅ 친한 사이: 평균 17만 원
알고 지내는 사이 축의금 비율
✅ 5만 원 이하: 53%의 응답
✅ 5만 원 초과 ~ 10만 원 이하: 44%의 응답
✅ 10만 원 초과 ~ 20만 원 이하: 2%의 응답
✅ 20만 원 초과: 1%의 응답
친한 사이 축의금 비율
✅ 5만 원 초과 ~ 10만 원 이하: 52%의 응답
✅ 10만 원 초과 ~ 20만 원 이하: 29%의 응답
✅ 20만 원 초과 ~ 30만 원 이하: 13%의 응답
✅ 5만 원 이하: 3%의 응답
✅ 30만 원 초과: 3%의 응답